메뉴 건너뛰기

재단법인 녹우당문화예술재단

소장자료

관규집요

조회 수 58 추천 수 0 2021.08.11 20:55:25

20171029_161147.jpg

 

 

황정(1650?~1730)
조선 1700년대 필사
종이에 먹
23.1×15.3cm
녹우당 소장
「관규집요」는 중국 청나라 황정이 1656년에 저술한 책으로 천문, 역상, 지리, 인사, 재해, 점복 등 다양한 내용이 그림과 함께 도해된 백과전서이다. 중국 역대 전적 중에서 천문 및 기상관측에 대한 이론들과 성점에 관한 기록을 발췌·편집하였다. 공재 윤두서는 총 80권 25책을 모두 필사하여 소장함으로써 과학적 식견을 넓혀 나간 것으로 보인다.
1652년에 목판본으로 초간된 이후에도 여러 번 교간되었는데, 이 책에는 천문의 기록에 의거하여 그린 천재지변과 관련된 59장면의 삽도가 실려 있다.
녹우당 소장 필사본인 「관규집요」는 1655년에 간행된 판본을 저본으로 하여 필사한 것이다. 특히 임모된 삽도들은 필사자의 화가로서의 뛰어난 기량이 엿보여 미술사적으로도 가치가 높은 회화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필사본의 글씨와 윤두서, 윤덕희(1685~1766)의 필적을 비교 분석해 본 결과, 이 책의 필사에는 윤두서를 비롯하여 여러 사람이 참여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필사본에 나와 있는 삽도들은 윤두서의 작품과 그가 작품에 활용했던 명대에 출간된 「고씨화보, 『삼재도회」, 「열선전전」 등의 산수·인물의 모티프들과 화풍에서 비슷한 점이 많아 윤두서가 전담해서 그린 것으로 보고 있다.
필사한 삽도들은 단순히 모사에 그치지 않고 복잡한 별자리, 수목, 인물, 동물화, 옥우까지 모두 공재의 필력으로 소화시켜 그의 회화적 기량을 엿볼 수 있다. 이 책을 필사한 시기는 「고씨화보」, 『삼재도회」, 「열선전전』 등 다양한 화보들을 통해서 익힌 수엽법, 산석법, 수파묘 등이 능숙한 솜씨로 구사되고 있고, 1706년 『양휘산법을 필사했던 것 등을 통해 1700년에서 1713년 사이에 필사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삽도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천열" 주문공이 말하기를, "천열은 양의 기운이 부족하여 군주가 약하니, 신하가 난리를 일으켜 국토가 분열 된다."라 하였다. 한나라 반고가 말하기를, "천열은 양기가 부족하여 땅이 요동치고, 음기는 남음이 있어서 모두 신하가 강성해져서 장차 주상을 해칠 변란을 일으킨다."라 하였다.(하략) "천명" 「진서품」에 말하기를, "천명은 소리가 있으니 음기가 성하고 양기가 쇠하여 인주가 근심한다."라 하였다.
"천고" 경방이 말하기를, "하늘이 낮이 되어 구름이 없는데 우레가 치는 것을 천고라 하니, 포악한 병란이 일어난다. 이를 당하는 나라는 반드시 갑병이 있어서 군주와 나라가 공허해진다. 주문공이 말하기를 "때가 아닌데 우레가 치는 것은 군주가 실정 했기 때문이니, 반드시 갑병 뛰듯이 있다. 군주와 나라가 공허해진다."라 하였다.(하락) "천화" 주문공이 말하기를, "천화"는 바로 허위와 음미 함을 경계하니, 도를 믿음이 돈독하지 않기 때문이다.
허위를 숭상하면 그 재앙이 드러나서 종묘를 불태울 것이 다."라 하였다. 「진서』에 말하기를, "군주가 그 누대를 높이면 천화가 재앙이 된다."라 하였다.
 
글 정윤섭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

자미배국 file

  • master
  • 2021-08-13
  • 조회 수 72

자미배국 (紫薇排局) 공재공 윤두서가 쓴 묘소에 대한 기록

12

우득록 지봉유설 주자대전 file

  • master
  • 2021-08-13
  • 조회 수 76

우득록(愚得錄)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곤재(困齋) 정개청(鄭介淸:1529~1590)의 文集으로, 곤재집(困齋集), 우득록(愚得錄)으로도 호칭되며 論이 중심이 되어서 子部에 分類되었다. 鄭介...

11

사한일통 file

  • master
  • 2021-08-13
  • 조회 수 58

《사기》는 상고시대부터 무제까지의 통사(通史)이고《한서》는 전한(前漢)만을 다룬 단대사(斷代史)로, 한고조(漢高祖) 유방(劉邦)부터 왕망(王莽)의 난(亂)까지 12대(代) 230년간의 기록이라...

10

서죽 영기경 초씨역림 file

  • master
  • 2021-08-11
  • 조회 수 140

조선 후기 종이에 먹 26.1×17.5cm, 24.0×17.2cm, 25.2 x 16.1cm 녹우당 소장 서죽(筮竹)은 대나무를 가늘게 깎아 막대기로 만든 점술구다. 공재 윤두서가 사용했던 것으로 주역의 6...

»

관규집요 file

  • master
  • 2021-08-11
  • 조회 수 58

황정(1650?~1730) 조선 1700년대 필사 종이에 먹 23.1×15.3cm 녹우당 소장 「관규집요」는 중국 청나라 황정이 1656년에 저술한 책으로 천문, 역상, 지리, 인사, 재해, 점복 등 다양한 내...

8

어초은공 시향윤판 file

  • master
  • 2021-08-11
  • 조회 수 57

어초은공 아들 4형제가 정조, 한식, 단오, 추석 등 주요 절기에 따라 돌아가면서 제사를 드리는 조약에 대해 기록한 것으로 고산 윤선도가 직접 쓴 것이다.

7

서구 file

  • master
  • 2021-08-11
  • 조회 수 48

고산선생을 비롯한 후손들이 사용하였던 붓과 벼루

6

회명정측 file

  • master
  • 2021-07-28
  • 조회 수 102

고산공 윤선도가 거문고의 제작방법과 사용법을 자세히 적어 놓은 책

5

낭옹신보와 아속가사 file

  • master
  • 2021-07-28
  • 조회 수 115

낭옹신보 김성기(金聖基)의 거문고가락을 채보한 악보. 김성기의 아들과 그의 제자들이 제작하였다. 편찬연대는 확실히 알 수 없으나 무신년 국추(菊秋)에 김성기가 죽은 뒤 남원군(南原君)이휼...

4

고산유금 file

  • master
  • 2021-07-28
  • 조회 수 73

고산유금은 고산공 윤선도가 350여 년 전 만들어 사용한 것으로 알려진 거문고다. 이후 1982년 윤선도의 14대 종손인 윤형식 씨가 서고에서 발견, 세상에 알려졌지만 소실된 부분이 많아 연주가...

위로